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후동행카드 소개 및 후기 (대중교통적용지역/정산방법/카드종류/알뜰교통카드비교)

반응형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일 (토) ~ 6월 30일 (일)

이용범위

  •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카드가격

  • 62,000원 (따릉이 제외)
  • 65,000원 (따릉이 포함)

카드 종류

  • 모바일카드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 실물카드 (iOS 기반 휴대전화, 디지털 약자)

구매방법

  • 카드 구매 및 충전은 2024년 1월 23일부터 가능
  •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에서 현금 3,000원에 판매

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

  • 알뜰교통카드는 충전 금액에 따라 사용 가능한 교통수단이 제한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한 달 동안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기후동행카드는 기후 변화를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혁신 정기권으로, 현재는 서울 권역 내 있는 대중교통만 이용 가능하나,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전국적으로 확대 될 방침입니다.
이용 가능 교통수단 충전 금액에 따라 제한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무제한 이용
이용 가능 지역 전국 서울 권역 (시범 운영 후 전국 확대 예정)
카드 가격 충전 금액에 따라 변동 62,000원 (따릉이 제외), 65,000원 (따릉이 포함)
이용 기간 충전 금액 소진 시까지 충전일로부터 30일

 

한달에 대중교통을 얼마나 이용해야지 나에게 혜택일까!! 

  • 기후동행카드의 가격이 62,000원(따릉이 제외)이므로, 이 가격을 넘는 금액을 대중교통 이용료로 지출하는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혜택이 됩니다.
  • 예를 들어, 서울시 버스 요금이 성인 기본요금 1,200원이라고 가정하면, 한 달 동안 대략 52회(약 2회/일) 이상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대중교통 적용지역 

  • 지하철: 서울 지역 내 1~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서울역~김포공항 구간)

 

  • 1호선: 온수/금천구청 ~ 도봉산
  • 2호선: 전 구간
  • 3호선: 지축 ~ 오금
  • 4호선: 남태령 ~ 당고개
  • 5호선: 방화 ~ 강일/마천
  • 6호선: 전 구간
  • 7호선: 장암 ~ 온수
  • 8호선: 전 구간
  • 9호선: 전 구간
  • 신림선: 전 구간
  • 우이신설선: 전 구간
  • 경의중앙선: 수색 ~ 양원/서울역
  • 수인분당선: 청량리 ~ 복정
  • 경춘선: 청량리 ~ 신내
  • 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다만, 신분당선은 요금체계가 다르므로 이용이 제한됩니다.

  • 버스: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심야버스
  • 따릉이

다만,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는 이용이 제외됩니다. 또한,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하나, 지하철의 경우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소개('24.1.27.~6.30.)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사용방법 안내

news.seoul.go.kr

 

정산방법


충전일 포함하여 5일 이내에 사용시작일 지정, 
그로부터30일간 이용 가능 

예) 1월27일 카드 충전 후 사용을 시작하면, 그 날을 포함하여 30일 동안 무제한으로 대중교통 이용 가능. (2월25일까지)

*1월27일~1월31일까지 1월, 2월 각각이 아닌 한달 동안의 이용료가 한번에 결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