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자산운용사 요약정리(투운사 시험정리) 2-3 투자분석기법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시 투자자산운용사 요약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공부하는 게 쉬운 건 아니지만 나름 뿌듯하기도 하면서 스스로 대견해요? ㅎ
전 보통 요약정리를 이해가 다 되면 그때 요약정리를 하면서 요약본대로 외우는 스타일이거든요.
투자분석기법단원 이해하고 왔습니다.

주식 조금 해보시거나, 금융 관련 자격증 갖고 계신 분들은 그나마 쉽게 이해하실 것 같아요!
금융 3종이랑 겹치는 부분이 많은 것 같더라고요~

투자분석기법에서는 12문항 출제됩니다!

가치평가

현금흐름의 추정
-증분기준
-세후기준으로 모든 간접적 효과를 고려하여 추정한다.
-현금유입, 유출의 시점을 정확히 추정해야 된다.
-기회비용은 당연히 고려대상, 매몰비용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현금유출 요인: 재무상태표 상의 비유동자산, 유동자산, 유동부채로 부터 추정한다.
-현금유입 요인: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이익 으로부터 추정한다.


증권분석을 위한 통계용어

1. 중심위치
-중앙값/ 산술평균/ 최빈값
2. 산포경향
-범위/ 분산/ 표준편차/ 평균편차


보통주의 가치평가

-항상 성장모형(정률성장모형): 배당평가모형상 기업의 성장이 일정한 경우를 가정할 때 주식의 가격이 평가되는 모형이다.
—> 요구수익률 < 배당성장률을 가정한다.

-배당수익률: 주당배당/주가
-배당성향: 주당배당/주당순이익 = 1-사내유보율
-배당성장률: 사내유보율*자기 자본이익률 = b*ROE
-요구수익률: 배당수익률+배당성장률

재무비율

1. 유동성지표: 단기부태에 대한 기업의 상환능력
*유동비율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많은 기업의 경우 단기적인 부채상환능력을 과대평가하게 되며, 이 경우 당좌비율로 보완한다.

2. 안전성지표: 기업의 중장기적인 채무상환능력

3. 수익성지표: 기업의 수익성
-매출액영업이익률
-총 자산이익률 (ROA) : 순이익/순매출 X 순매출/총 자산
  보유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자기 자본이익률 (ROE): ROA X (1+부채비율)

4. 활동성지표: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매출 기여도
*재고자산회전율이나 매출채권회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은 부실의 징후로 해석할 수 있다.

5. 보상비율: 현재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재무적 부담을 이행할 수 있는 능력
  *배당성향이 매우 높다면 성장성이 낮은 기업을 의미, 신규투자 하지 않아 고배당 가능하다.

레버리지 분석

영업레버리지는 기업의 영업비 중에서 영업활동의 정도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고정비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며,
재무레버리지는업이익의 유무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보상비율의 존재로 인해 발생한다.

영업레버리지 (DOL) X 재무레버리지 (DFL) = 결합레버리지 (DCL)
*고정비: 감가상각비, 임차료, 경영진보수
*변동비: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판매수수료


현금흐름분석

현금유출 없는 비용: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 유가증권평가손실/재고자산평가손실
현금유입 없는 수익: 유가증권평가이익

상대가치평가모형

1. PER = 주가/EPS (예상 EP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
-Gordon 모형:  1-b/ k-b X ROE
-성장률과는 양(+)의 관계, 자본비용과는 음(-)의 관계가 있다.
*PERG
-PER이 낮다고 해서 주가상승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은 단편적 시각이다.
-PERG이 낮다면 주가상승가능성 높다고 보는 것은 합당하다.

2. PBR= ROE x PBR
  - ROE (+)의 관계 / k_위험 (-)의 관계
  - 토빈의 Q 자기 자본 ‘시가’ 평가 (장부가평가 문제 보완)
  - Q <1 : 적대적 M&A 타깃

3. EV/EBITDA
  -EV = 시가총액+ 순차입금
  -EBITDA는 현금유출 없는 비용인 감가상각비 더해져 현금흐름 잘 반영하다.

EVA 모형

EVA(경제적 부가가치)= 세후순영업이익-(투하자본*가중평균자본비용)
MVA(시장부가가치)= 투하자본(IC)+EVA/k(자본비용) + 비사업용 자산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