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자산운용사 요약정리(투운사 시험정리) 3-5 채권투자운용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자산운용사 요약정리 채권투자운용파트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요!
채권은 주식파트에 비해서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금융 3종 자격증인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이나 파생상품권유자문인력 등을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씩은 훑어봤던 내용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채권 발행 방식/ 말킬의 채권가격정리/ 현물이자율 구하는 공식을 잘 숙지해 두면 문제 풀기 수월할 것 같습니다. 6문제 출제되는 파트입니다.

채권의 분류

[발행주체별]
-국채/지방채/특수채/회사채 (증권신고서 제출)
[이자지급별]
-복리채/단리채/할인채/이표채


주식 관련채권

[전환사채_CB]
-사채소멸/ 신규자금 유입 없음/ 발행사 주식취득
-자본+/부채-
-일반사채보다 금리가 낮다.
[신주인수권부사채_BW]
-사채존속/ 신규자금유입 있음/ 발행사 주식취득
-자본+
[EB_교환사채]
-사채소멸/ 신규자금 유입 없음/ 타 상장사 주식 취득
-자산(-)/ 부채(-)


옵션부채권

[수의상환채권]
=콜옵션부채권
-콜옵션, 발행자가 옵션행사
-금리하락기에 옵션 행사
-옵션행사로 조기상환 후, 더 낮은 금리로 발행
=일반채권 가치-콜옵션 가치
=채권보유자 위험: 콜위험
*일반사채에 비해 불리하므로 일반사채보다 높은 금리로 발행

[수의상환청구채권]
=풋옵션부 채권
-풋옵션/ 투자자가 옵션행사
-금리상승기에 옵션 행사
-채권가격이 더 하락하기 전 보유 채권 매각
-일반채권 가치+풋옵션가치


수익률곡선

1. 불편기대이론: 단기채, 장기채는 완전 대체
2. 유동성 선호가설: 유동성이 좋은 것을 선호 (우상향)
3. 편중기대이론: 낙타형 수익률곡선 (불편기대론+유동성선호가설)
4. 시장분할
5. 선호습관가설: 하위시장에 따라 유동성 프리미엄이 +,- 가 될 수 있으며 다른 만기로 이동 가능하다.


말킬의 채권가격정리

-채권가격 <->채권수익률은 역의 관계
-채권 잔존만기 길수록-> 채권가격 변동폭이 커짐
-이자율 변동-> 채권가격 변동폭은 만기가 길어질수록 체감하면서 증가한다.
-만기가 일정할 때 수익률 하락으로 인한 가격상승폭이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가격하락폭보다 크다.
-표면이자율이 높을수록 동일한 수익률 변동에 대한 채권의 가격변동폭이 작아진다.

*듀레이션+= 표면이율-/만기수익률-/잔존만기+
*이표채의 듀레이션은 만기보다 항상 짧다.


현물이자율

채권수익률 상승 시: 선도> 현물> 만기수익률


채권운용전략

[적극적 전략]
1. 금리예측전략: 듀레이션 조절
2. 수익률곡선 타기
-롤링효과: 잔존기간 짧아지면 수익률 하락
-숄더효과: 단기채로 갈수록 롤링수익의 폭이 커지는 것
(*금리상승기에 손실 발생 가능성 있음)
3. 채권교체전략
-동종채권교체전략
-이종채권교체전략
( 경기불황- 스프레드확대, yeild give up swap, 국채매수//
(경기호황 - 스프레드 축소)
4. 스프레드 전략: 수익률 교차 이용 (교체매매)
5. 수익률 곡선
-바벨형: 단기채, 장기채 금리 하락-> 단기채, 장기채 매수
-불렛형: 단기채, 장기채 금리 상승 -> 단기채, 장기채 매도

[소극적 전략]
1. 만기보유전략
2. 사다리형만기전략
3. 채권면역전략 (투자기간=듀레이션 일치)
4. 현금흐름일치 (현금유입액=현금유출액)
5. 채권인덱싱

반응형